스포없음)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감상 후기
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(2022) |
저는 평소에 영화,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는 편은 아닙니다. 휴일에 게임을 즐겨하는 편이었죠.
유튜브 알고리즘으로 건담 관련 쇼츠 영상을 우연히 보게 되었고 그렇게 해서 '수성의 마녀' 작품을 보게 된 계기가 되었는데요.
이전부터 수성의 마녀 작품이 재밌다는 이야기가 커뮤니티에 나왔기에 후기를 찾아 볼 생각도 없이 건담 공식 유튜브 채널에 무료로 공개한 영상을 보았습니다.
프롤로그부터 이야기 흡입력이 상당했으며, 그 날 25부작 완결까지 모두 보게 되었네요.
개인적으로 너무 재밌게 본 터라, 2회차를 돌려보게 된 몇 안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.
어떤 부분이 저의 취향에 맞았는지, 주관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학원물과 정치물의 조화
기동전사 건담 SEED (2001) |
2001년에 방영한 건담시드로 수 많은 건덕들을 양성하였지만, 초등학생 시절에 보았던 건담 시드는 정확한 스토리는 기억나지 않았고 건담 로봇이 싸우는 장면만 재밌게 본 기억이 있었죠.
나중에 성인이 되고 정확한 스토리가 궁금해서 다시 보았는데요.
초·중학생이 보기엔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스토리였습니다.
각 국가 진영 간의 대립, 전쟁통에 의한 인간 갈등 등 성인이 봐도 너무 어렵더군요. 그래서 나중에 따로 유튜브에 정리된 영상이나 나무위키 문서를 살펴볼 정도였습니다.
건담 애니메이션은 이런식으로 상당히 진지하고 무거운 주제로만 스토리가 진행이 됩니다.
가볍게 애니를 보길 원하는 시청자라면 부담이 될 수 있는 장르죠.
그러나 수성의 마녀는 달랐습니다.
그리고 주인공 '슬레타 머큐리'가 진지할 수 있는 분위기를 환기 시켜주는 역할을 해줬습니다.
주인공 '슬레타 머큐리' |
대부분 캐릭터들이 진지한 모습이 나오는 것과 달리 주인공 만큼은 당황하고 덜렁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. 표정도 가장 풍부하게 짓는 캐릭터입니다.
대부분 영상에서 위의 사진처럼 당황하는 표정을 많이 볼 수 있죠.
계속 보면 귀여운 모습들이 많아서 볼수록 매력적인 캐릭터 입니다.
자칫 무거운 주제일 수 있는 내용도 주인공의 이런 성격으로 인해 진중함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. 덕분에 애니를 편하게 볼 수 있게 해주죠.
아스티카시아 고등 전문 학원 |
학원에서 벌어지는 내용도 가벼운 소재로 접근하는데요. 점점 진중한 이야기로 빌드업 해나가면서 자연스럽게 애니메이션에 몰입하도록 잘 유도하였습니다.
스토리 후반부는 정말 무거운 주제를 다루게 되며, 학원물을 사실상 완전히 벗어나지만 이미 몰입된 상태이기에 계속 볼 수 밖에 없도록 만들었죠.
뛰어난 액션 연출
주인공 기체 '에어리얼' |
상당히 만족스러운 전투 연출 퀄리티를 보여줍니다.
이게 TV방영 퀄리티라는게 믿겨지지 않을 정도죠.
개인적으로 메카닉 액션은 100% 3D로 구현해도 괜찮다고 보는데 일부 2D 표현에서도 크게 떨어지는 작화도 없었으며, 특히 마지막화의 메카닉 액션은 정말 미친 퀄리티를 보여줍니다.
첫화부터 마지막화까지 빠짐없이 메카닉 전투를 보는 재미가 좋았습니다.
사운드 효과 및 OST
웅장한 분위기의 오케스트라 연주 OST를 주제곡으로 사용하였는데요.애니메이션을 더욱 몰입 할 수 있었고 완결까지 봤는데도 이 음악을 계속 듣게 됩니다.
뿐만 아니라 메카닉 액션에서 나오는 효과음들도 매우 섬세하고 다양한 음악들로 듣는 즐거움이 컸습니다.
라이플 빔을 쏠 때 효과음, 빔샤벨을 꺼낼 때 효과음, 빔을 막았을 때 효과음, 비행 추진체가 작동되는 효과음 등 메카닉 특유의 묵직함을 잘 전달해주었는데요.
어릴 적 봤던 로봇물에 있던 효과음과 전혀 다른 효과음이 나타났습니다. 제가 건담 애니를 그동안 안봤었기에 정확히 모르지만 상당히 발전된 효과음으로 옛날 건담 애니는 이제 역체감이 너무 커서 보기가 싫을 정도로 말이죠.
아쉬운 점
많은 분들이 지적하는 부분과 저의 관점은 달랐습니다. 용두사미 엔딩이라고 평가를 하지만,
개인적으로 후반부도 재밌게 봤습니다. 스토리 후반부로 진행될수록 학원물 요소는 사라지고 정치·전쟁 비중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데 이 시점에서 분위기가 무거워지고, 시청자에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댓글
댓글 쓰기